디아블로 4 그래픽 최적화 설정 방법
디아블로 4는 게임 최적화가 나름 잘 되어있는 편이지만, 모든 유저들이 좋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에 최적화 설정을 통해 모든 사양의 유저들이 쾌적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기 위해 설명드리는 디아블로 4 그래픽 최적화 설정 가이드입니다.
디아블로 4 그래픽 최적화 설정
디아블로 4 게임 내에서 설정하는 인 게임 설정은 '화면', '품질', '게임 플레이' 옵션을 변경해서 그래픽 최적화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디아블로 4 게임에서는 개인 취향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설정에 대한 기본 설명만으로 옵션을 변경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해당 설정이 게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든 점을 고려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래픽 최적화 설정에는 게임 화면에 미치는 영향, 프레임, 반응 속도 등을 고려하고, 개인 취향이 어느 정도 반영된 설정값입니다.
1. 인게임 화면 설정
2. 인게임 품질 설정
3. 게임 플레이 설정
인게임 화면 설정
인 게임 설정 중 화면 탭에 있는 옵션들을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화면 설정
화면은 창 모드와 창 모드(전체 화면)가 있습니다. 게임 하나에만 컴퓨터가 집중되기를 바란다면 창 모드(전체 화면)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하지만, 창 모드로 플레이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해상도 조절
디아블로 4는 인 게임 설정에서 해상도 조절을 할 수 없습니다. 바탕화면에서 맞춰놓은 해상도가 게임에서도 그대로 고정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사양이 낮은 PC를 사용하는 경우 해상도를 내려서 게임을 플레이해야 하는 경우 바탕화면 해상도를 미리 낮춰서 설정한 다음 게임을 실행해야 합니다.
인 게임에서 표시되는 해상도 설정은 모니터와 설정한 해상도와 일치하는지만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이미지 선명도
이미지 선명도는 화면을 또렷하게 보이게 하는 효과인데, 기본 설정값 '6'으로 설정해도 상관없지만, 좀 더 또렷하게 보고 싶다면 올려도 괜찮습니다. 아래 설명드릴 그래픽 옵션 중에서 DLSS를 사용하면 화면이 뭉개져 버리기 때문에 그런 상황에 더 높여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지 선명도 설정은 모든 그래픽 설정을 모두 변경한 다음 마지막에 변경하는 것을 권장하고, DLSS 적용 후 화면이 흐려진 게 보일 때는 더 높여서 설정합니다.
HDR 설정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에 HDR 기능이 있는 경우 그래픽 향상을 위해 사용합니다. HDR 등급 중에 되도록이면 HDR 600 이상 모니터에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직 동기화 설정
수직 동기화는 모니터에 따라서 설정 방법이 조금 다르게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우선 G-SYNC(지 싱크), FreeSync(프리 싱크) 모니터를 사용하는 분들 중에 프레임이 자기 모니터 주사율(Hz) 안으로 나오는 경우에는 꺼두어도 됩니다. 다만 수직 동기화와 지 싱크, 프리 싱크 사용법은 굉장히 쉬운 것 같으면서도 복잡한 부분이 있습니다.
- 144Hz 모니터 : 평균 140 프레임
- 240Hz 모니터 : 235 이하 프레임
- 반응 속도를 위해 수직 동기화를 끄고 사용해도 화면에 크게 지장은 없습니다.
화면의 부드러움과 안정을 위해 수직 동기화를 켜는 것을 추천하고, 지 싱크나 프리 싱크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끄는 것이 반응 속도에는 좋습니다. 만약 지 싱크와 프리 싱크 기능이 없는 모니터는 아래 설명드릴 프레임 제한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FPS 제한 설정은 기본 값 설정 그대로 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해상도 비율 설정
성능 항목에 해상도 비율 설정은 100%로 기본 설정되어 있는데, 일반 유저분들은 수치를 조절할 필요가 크게 없는 설정입니다. 해상도 비율 설정을 올리면 전체적인 그래픽이 더 좋아지는 옵션이지만, 그만큼 프레임은 하락하는 옵션입니다.
만약 컴퓨터 사양이 좋아서 프레임이 잘 나오는 경우에는 150~200%까지 올려서 화질을 더 좋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사양 유저라서 60FPS도 안 나오는 경우에는 모든 그래픽 설정 후에 마지막에 퍼센트를 조금씩 내려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NVIDIA DLSS 설정
엔비디아 DLSS 설정은 QHD, 4K 모니터 사용자분들 중에 프레임 확보가 조금이라도 필요한 경우 사용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FHD 모니터 사용자분들에게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 QHD 모니터 : "품질" 옵션 추천
- 4K 모니터 : "균형" 이하 옵션 추천
- 옵션 설정은 직접 화면을 보고 변한 모습을 확인하거나, 비교가 어려운 경우 더 내려서 옵션을 설정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만약 FHD 모니터 사용하시는 분들 중에서는 60FPS도 안 나오는 저사양 유저인 경우에는 화질을 포기하고 한 번 사용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DLAA는 DLSS 보다 조금 더 화면이 선명하지만 프레임은 DLSS 만큼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프레임 생성 설정
프레임 생성이라는 것은 DLSS3라고 불리는 기능입니다. 엔비디아 4000번 대 그래픽카드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능입니다. 프레임은 높아지지만 반응속도에 민감한 게임 플레이어에게는 비추천하는 옵션입니다.
비추천하는 이유는 싱글 게임이라면 모르겠지만, 온라인 게임이라 반응 속도에 조금이라도 영향이 가는 옵션이면 비추천합니다.
최대 포어그라운드 FPS 설정
포어그라운드라는 것은 게임 프레임 설정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디아블로 4 게임을 몇 프레임으로 제한해서 플레이하고 싶은지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 최대 포어그라운드 FPS = 게임 전체 프레임 제한
- G-Sync, FreeSync 모니터 설정값
- 144Hz 모니터 : 141
- 204Hz 모니터 : 225
- 수직 동기화 켜기 또는 끄기
- 일반 모니터 설정값
- 60Hz 모니터 : 59
- 144Hz 모니터 : 143
- 수직 동기화 켜기
최대 백그라운드 FPS 설정
최대 백그라운드 FPS 설정은 디아블로 창 화면을 내렸을 때, 프레임이 제한되면서 그래픽카드를 쉬게 하고, 전력 소모를 절감하는 설정입니다.
- 최대 백그라운드 FPS = 게임 화면을 내렸을 때, 프레임 제한 설정
- 주의사항 : 최대 백그라운드 FPS가 완벽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NVIDIA Reflex를 "활성화됨"으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최대 백그라운드 FPS 설정값은 30이하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NVIDIA Reflex 짧은 지연 시간 설정
엔비디아 리플렉스라는 것은 게임 반응 속도와 관련된 옵션이므로 활성화보다는 "활성화됨 + 부스트"로 설정하면, 컴퓨터가 디아블로 4를 돌리는데 좀 더 집중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중 부스터는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전원관리 모드를 "최대 성능 선호"로 설정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즐겜 유저인 경우에는 "활성화됨"으로 설정합니다.
인게임 품질 설정
디아블로 4 그래픽 최적화 설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설정은 인 게임에 설정할 수 있는 품질 항목에 있는 설정입니다.
텍스처 품질 설정
텍스처 품질은 디아블로 4 옵션 설명에 잘 되어 있기는 하지만, 궁금증이 발생할 수 있는 설명입니다.
FHD 모니터 사용자는 "중간" 정도로 사용하라고 해놓았지만, 조금 설명이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매우 높음" 설정과 "낮음"을 비교해 보면, 바닥이나 벽 등 여러 가지가 다 뭉개져 버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캐릭터 그래픽에는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프레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비디오 메모리(VRAM)가 "매우 높음"과 "낮음"은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VRAM 6GB 이하인 경우에는 되도록 "높음"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등방성 필터링 설정
되도록이면 모든 게임에서 비등방성 필터링 설정은 "16x"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하지만 가끔 옵션별로 차이가 안 나는 게임도 있기 때문에 비교가 필요합니다.
16 배수와 8 배수까지 비교해 봐도 화면 상에서 크게 달라지는 것을 한눈에 알아보기 힘든 수준입니다. 그리고 꺼짐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오히려 "16x"로 설정하는 것이 프레임이 잘 나오는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시스템마다 다를 수 있으니 직접 테스트해 보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이 기능이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다면, "꺼짐"으로 설정해도 괜찮습니다.
그림자 품질 설정
"가장 높음"과 "낮음"으로 설정을 비교해 보면, 그림자가 굉장히 선명해지고, 낮음에서는 뭉개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게임에서는 아이템을 획득하기 바쁘기 때문에 사실 그림자가 그렇게 큰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그림자 선명도 차이가 나지만, 프레임을 보았을 때도 그림자가 프레임에 영향을 꽤 주는 편이기 때문에 "중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동적 그림자 설정
동적 그림자라는 설정은 미리 배경에 만들어 놓은 그림자가 아닌 움직임에 따라 생기는 그림자들을 모두 꺼버린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림자 효과가 필요 없는 분들은 끄고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프레임 차이를 비교해 보면, 동적 그림자 설정 하나로 많은 프레임 차이를 보이는 옵션입니다.
디아블로 4 프레임이 부족한 경우에는 "끄기"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부드러운 그림자 설정
부드러운 그림자 설정은 말 그대로 그림자를 부드럽게 보이게 할지, 선명하게 보이게 할지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부드러운 그림자 설정을 끄는 것이 좀 더 선명하게 잘 보이게 합니다. 이 옵션은 끄는 것보다 켜는 것이 프레임이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켜기"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셰이더 품질 설정
셰이더 품질 옵션은 다양한 시각 효과라고 하지만 이것은 일반적인 화면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고 특수한 상황에서만 나온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화면에서 효과도 보이지 않는데, 프레임에는 영향이 있습니다. "낮음"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SSAO 품질 설정
앰비언트 오클루전이라는 옵션이고 그림자가 겹치는 부분에 좀 더 현실감 있게 해주는 옵션입니다.
디아블로 4에서는 굳이 필요한 옵션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높음" 옵션과 "꺼짐"을 비교해 보면 화면에서 크게 변화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높음으로 설정했을 때, 프레임이 하락하는 효과가 있으니, 저사양 유저분들은 "꺼짐"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하고 그래도 조금이라도 설정을 높이고 싶다면, "낮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안개 품질 설정
화면에서 옵션별로 변화를 체감하기는 힘든 수준의 옵션입니다. 특정 장소나 특정 환경이 아닌 경우 크게 필요하지 않은 옵션이라고 보며, 화면만 뿌옇게 만든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개인 취향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프레임을 비교해 보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낮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사물 표현 밀도 설정
디아블로 4 게임 화면 내에 있는 풀과 나뭇잎 같은 것들을 표현하는 거리 범위와 양을 말합니다. "가장 높음" 옵션과 "꺼짐"을 비교해 보면, 바닥에 잔디가 사라지거나 많아지는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깔끔한 화면을 원한다면 "꺼짐"으로 설정하고, 어느 정도 사물이 보이는 것을 원한다면 "낮음" 정도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털 품질 수준 설정
이 옵션은 플레이어나 적이나 모든 털에 관련된 옵션입니다. 캐릭터가 털 옷을 입은 상태에서 정상 시야 범위로 확인해 보면 최고 옵션으로 하더라도 크게 표시되지 않습니다. 줌을 해서 확인한 경우 조금 털을 볼 수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나 개인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낮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물 시뮬레이션 품질 설정
특정 화면에 물이 나오는 곳이 아니라면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옵션입니다. "낮음" 옵션과 "높음" 2가지 설정을 할 수 있는 2개의 화면 효과를 비교해 보아도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낮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계단 현상 방지 품질 설정
안티앨리어싱의 품질 관련 옵션인데, 이 설정 역시 켜고 끄고의 차이를 화면에서 찾아보기 힘든 옵션입니다. 프레임에도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낮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하학적 복잡성 설정
메시의 품질이라고 설명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설명을 보았을 때는 무슨 의미인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돌이나, 바닥에 입체감 등이 달라지는 옵션입니다. "높음"과 "낮음" 화면을 살펴보면 돌 모양도 달라지고 바닥 입체감도 달라진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모양이 변경되면서 그림자도 살짝 변하기 때문에 입체감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하지만 "높음"과 "중간"의 설정 차이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수준입니다. 하지만 "낮음" 옵션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화면에서 달라는 것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옵션이기 때문에 "중간"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프레임에는 미미한 차이가 있습니다.
지형 구조 세부 묘사 설정
눈이 파인 곳에 좀 더 입체감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차이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눈이 오는 맵이 아닌 다른 맵이라도 약간의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그래픽 차이는 미미하고, 프레임의 차이를 고려해 보았을 때는 "낮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물리 품질 설정
물리 품질은 말 그대로 물리 엔진을 CPU 성능으로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CPU 사양이 낮은 PC를 사용하는 경우 당연히 "낮음"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고, CPU 사양이 높은 경우 "높음"으로 설정합니다. 이 설정 역시 디아블로 4를 오랫동안 해온 유저인 경우에는 "낮음"으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입자 품질 설정
생성되는 입자 개수라고 표현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타격했을 때, 혈흔 같은 것이 튀는 효과를 비교해 보면 "낮음"으로 설정했을 때 덩어리가 튀는 느낌인데, "높음"으로 설정하면 안개처럼 표현됩니다.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옵션입니다.
상황에 따라 이펙트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겠지만,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낮음"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반사 품질 설정
특수한 맵 또는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어떤 것이 반사되고 있는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옵션입니다. 또한 일반적인 화면에서는 프레임에도 거의 영향이 없는 옵션입니다. 그래픽 옵션이 적용되는 곳에서만 영향이 생길 것이기 때문에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아이템 먹기 바쁜 경우라면 "낮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화면 공간 반사 설정
이 옵션은 특수한 맵이나 환경이 아닌 경우에는 옵션의 차이점을 찾기 어려운 옵션입니다. 일부러 반사가 될 만한 맵을 찾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화면 구분이 안되는 화면에서도 프레임이 미세하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꺼짐"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왜곡 설정
왜곡 설정은 화면을 왜곡시킬 만한 마법이나 환경이 아닌 경우에는 자주 나오지 않는 효과입니다. 마법 장막 같은 것에도 왜곡은 표현되지 않습니다. 화면이 구부러지고 꺾이고 하는 효과를 좋아하는 경우에는 "켜짐"으로 설정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다만, 크게 필요한 옵션은 아닙니다.
FX 낮춤 설정
이 옵션은 화면에서 한눈에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렌더링 된 입자 시스템 효과를 줄인다고 설명에 나와있기 때문에 저사양 PC 유저분들이나 오래된 유저라면 켜고 쓰는 것이 조금 더 쾌적하게 게임을 즐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게임 플레이 설정
마지막으로 게임 플레이 설정에서 '화면 떨림 효과', '전투 적중 섬광', '스트로빙 감소' 옵션을 설정을 켜고 플레이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눈 부심을 싫어하는 분들이라면 성광과 스트로빙 감소만 켜고 플레이하면 되겠습니다. 만약 화면 떨리는 것을 싫어하는 경우에는 끄고 플레이하는 것이 좋습니다.
디아블로 4 그래픽 최적화 설정 방법을 모두 설명드렸습니다. 설명드린 모든 옵션 설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을 여는 방법은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Very High(매우 높음), High(높음), Medium(중간), Low(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