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기초연금인 게시물 표시

기초연금 감액되어 10만 원만 지급되는 이유

이미지
기초연금 수급 대상자는 단독가구 323,000원, 부부가구 517,000원을 최대 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수령액보다 적게 지급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초연금이 감액되어 10~20만 원 수령하시는 분들이 왜 다른 분들보다 감액 지급되는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기초연금 감액되는 이유 2023년 기준 기초연금은 단독가구 323,000원, 부부가구 517,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장에 찍힌 금액을 보면 32만 3천 원이 아닌 20만 원 또는 10만 원만 들어오신 분들이 있습니다. 기초연금 액수가 적게 들어온 이유는 기초연금의 3가지 감액 제도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초연금이 어떤 경우에 얼마나 깎이게 되는지 3가지 감액 제도에 대해서 아주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기초연금 감액 목차 1. 기초 연금 제도 2. 기초 연금 감액 제도   - 부부 감액 제도   - 소득 역전 방지 감액 제도   - 국민연금 연계 감액 제도 기초 연금 제도 기초연금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연금 수급 자격은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인 어르신만 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은 단독가구 202만 원 이하, 부부가구 323만 원 이하입니다. 소득 인정액이란, 소득을 평가한 '소득평가액'과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재산의 소득환산액' 2가지를 더해 소득인정액을 산출하게 됩니다. 산출한 소득인정액의 기준을 만족했을 때, 단독 가구는 최대 323,000원 그리고 부부 가구는 517,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감액 제도 기초연금 최대 수령 금액보다 낮은 금액을 받고 계신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기초연금 감액 제도에 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초연금 감액은 3가지의 제도를 통해 금액을 감액하고 있으니 자세한 내용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부부 감액 제도 부부가 모두가 기초연금을 받을 경우에는 부부 감액이라고 해서 각각에 대해 산정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