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체 관련주 연관성 및 종목 분석

국내 대학교와 기업의 연구진에서 상온과 상압의 환경에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물체를 만들었다는 논문을 아카이브에 게재하면서, 전 세계에서 검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초전도체란 무엇이며, 초전도체 관련주는 어떤 종목이 있는지 그리고 연관성과 종목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초전도체-관련주-연관성-및-종목-분석

초전도체 관련주 연관성 및 종목 분석

국내 고려대학교와 연구진에서 상온과 상압의 조건에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물체를 발견했다는 논문을 게재하면서 국내와 해외에서 큰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초전도체 관련주는 연일 엄청난 거래량을 동반하면서 상승하고 있습니다. 초전도체와 관련해서 다양한 기업들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초전도체란 무엇이며, 초전도체 관련주는 어떤 종목이 있는지 함께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초전도체란
  - 초전도체 발견 및 역사
  - 초전도체 특징
  - 상온 상압 초전도체 제조 공정
2. 초전도체 관련주

초전도체란

초전도체 관련주를 살펴보기 전, 간략하게 초전도체가 무엇이고, 국내에서 개발했다는 상온 상압 초전도체 KF-99은 어떤 것인지 간략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초전도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도체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전도체란 전기를 보낼 수 있는 원자로 이루어진 물체를 말합니다. 전도체에 전기가 움직일 때, 원자들과 부딪치면서 저항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초전도체(Superconductor)는 저항이 없는 도체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영하 259도(임계 온도)에서만 전기 저항이 0이 되어 전기 저항이 사라지게 되기 때문에 당시 초전도체를 실생활에 상용화하는 데는 큰 무리가 있었습니다.

초전도체에서는 전기 저항이 없으므로 초전도체로 만든 회로 안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 영원히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실험에 의하면 초전도체에 흐르고 있는 전류의 수명은 적어도 10만 년, 이론상으로는 우주의 나이보다 긴 10의 천만 제곱 초로 거의 영원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후 임계 온도를 높일 방법을 연구해 왔지만, 상온에서 초전도 물질을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높은 기압에서 임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전기 저항을 0으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지만,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보다 높은 기압 환경을 만드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상용화에는 부적합했습니다.

초전도체 기술이 가장 많이 적용된 것은 바로 MRI입니다. MRI에서는 초전도체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액체 헬륨을 사용해서 임계 온도 영하 259도를 맞춰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상온과 상압 환경에서 초전도체를 발견했다는 것은 MRI뿐만 아니라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물체에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전력 효율이 100%에 가깝게 되고, 열이 발생하지 않아 더 높은 효율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등 혁신적인 개발 성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초전도체 발견 및 역사

초전도체의 역사는 100여 년 전 1911년 네덜란드의 카메를링 오너스라는 과학자가 액체 헬륨을 이용한 극저온 실험을 하던 중 처음 발견하였습니다. 헬륨의 액화 온도인 4.2K(영하 268.8도) 근처에서 수은의 전기 저항이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 시작이었습니다.

1911년 발견 이후 수은 이외의 많은 금속에서도 초전도 현상이 관찰되었습니다. 20세기에 발견된 가장 신기한 현상 중 하나로 꼽히지만, 초전도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없었습니다. 그 이론을 찾는데 46년이라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1957년 미국 일리노이 대학의 바딘, 쿠퍼, 슈리퍼는 금속 안의 전자들이 전기적인 반발력을 이기면서 하나의 쌍을 이루면 초전도 현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했습니다. 초전도 현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한 것이 BCS 이론입니다. 실제로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하이젠베르그 그리고 천재 물리학자로 알려진 리처드 파인먼도 초전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이처럼 어려운 이론을 만든 3명의 물리학자는 197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합니다.

초전도 현상이 관찰된 이후 70년간 25K 초전도 현상의 이론적 한계로만 생각해 왔는데, 1986년 취리히 IBM 연구소의 베르노츠와 뮐러가 35K에서 금속 산화물이 초전도체로 변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론적인 한계가 깨지고, 전 세계에서는 더 높은 전이 온도를 가진 초전도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베르노츠와 뮐러는 1987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습니다.

1987년에는 임계 온도 97K 초전도체가 발견되었는데, 이 온도는 질소의 끓는 점인 77K보다 훨씬 높아 초전도체의 상업적 활용 가능성을 크게 높였습니다.

초전도체 특징

  1. 전기 저항 0
  2. 마이스너 효과
  3. 조셉슨 효과
  4. 양자 고정 효과

초전도체는 전기 저항이 0이라는 것 이외에도 몇 가지 특징을 보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마이스너 효과입니다.

마이스너 효과는 외부 자기장이 초전도체 내부를 침투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외부 자기장이 있을 때, 초전도체 내부에 초전류가 형성되고 이는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만들어 외부 자기장을 모두 밀어내기 때문입니다. 초전도체라고 하면, 보통 공중 부양을 하는 사진이나 영상을 볼 수 있는데, 바로 이 마이스너 효과 때문입니다.

또 한 가지는 양자 고정 현상(Quantum locking)입니다. 초전도체가 공중에 떠 있을 때 움직임이 없는 것은 자석에 의해 밀려나는 힘과 중력이 평형을 이뤄서 떠 있는 것이 아니라 양자 고정 현상에 의해 말 그대로 허공에 고정된 것처럼 어떻게 놓아도 위치가 고정되는 것입니다. 냉각되는 도중에 통과하던 자기력선의 일부가 자석 안에 포획되고, 완전히 냉각되고 나서는 마이스너 효과가 함께 작용하여 잡아당기는 힘과 밀어내는 힘이 균형을 이루게 되면서 그 자리에 고정되는 것입니다.

상온 상압 초전도체 제조 공정

고려대학교 소속의 퀀텀에너지 연구소가 아카이브에 게재한 논문에서는 상온 상압 초전도체 제조 공정은 매우 간단하다고 소개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구리와 인 분말을 혼합하여 합성해서 만들어 낸 최종물질이 바로 상온 상압 초전도체라고 했습니다.

논문에 기재되어 있는 제조 공정을 바탕으로 전 세계 연구소에서 연구를 진행하면서 다양한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다양한 의견에 대한 내용과 실제 초전도체 KF-99 개발이 성공적이고, 상용화가 된다면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는 상상을 초월할 수 있습니다.

KF-99과 초전도체가 상용화되었을 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랫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초전도체 관련주

초전도체 관련주를 소개하기에 앞서 초전도체 관련주는 모두 테마주입니다. 초전도체 관련 실적이 당장은 예상되지 않으며, 기업 중에는 시가총액이 매우 낮은 기업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중한 투자 결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국내 연구진의 초전도체 관련 논문이 게재된 곳은 누구나 논문을 등록할 수 있는 아카이브라는 사이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논문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고 있고, 초전도체 개발이 완료되었다고 확신하기에는 검증이 필요한 단계입니다.

초전도체 관련주는 어떤 종목이 있는지 그리고 해당 종목은 초전도체와 어떤 연관성이 있어서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신성델타테크(065350)

신성델타테크가 초전도체 관련주로 부각이 된 이유는 이번 초전도체 개발팀, 아카이브에 논문을 게재한 퀀텀 에너지 연구소의 지분 9.37%를 엘앤에스 벤처캐피탈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엘앤에스 벤처캐피탈의 지분을 52.52%를 보유한 신성델타테크가 최대 주주입니다.

신성델타테크 2023년 3월 분기 보고서에도 2020년 10월 6일 자로 엘앤에스 벤처캐피탈(주)을 인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종속 기업에서도 결산 월 12월 기준 52.52% 지분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신성델타테크-2023년-3분기-분기-보고서-종속기업-엘앤에스-벤처캐피탈-지분-52.52%-보유-현황

또한 엘앤에스 벤처캐피탈 2023년 3월 감사보고서의 투자 실적 자산에는 퀀텀 에너지 연구소의 지분 9.37%를 5억 원에 취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엘앤에스-벤처캐피탈-2023년-3월-감사-보고서-투자-실적-자산

퀀텀 에너지 연구소에서 초전도체를 개발한 것이 사실이라면, 개연성 측면에서는 압도적인 연관성을 가진 기업이 바로 신성델타테크 초전도체 관련주입니다.

파워로직스(047310)

파워로직스는 신성델타테크와 같이 엘앤에스 벤처캐피탈을 통해 퀀텀 에너지 연구소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엘앤에스-벤처캐피탈-2023년-3월-감사-보고서-주주-현황

엘앤에스 벤처캐피탈 2023년 3월 감사 보고서에서 주주 현황을 살펴보면, 파워로직스가 11.51%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2대 주주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덕성(004830)

덕성은 초전도자석을 이용한 균일 중력 제어 장치 그리고 초전도 플라이휠 에너지저장 장치용 회전 손실 자동 측정 방법 등 초전도 관련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모비스(250060)

핵융합 관련 사업 분야를 영위하고 있으며, 초전도 코일 퀜치 검출용 신호 처리 시스템 관련 사업을 수주한 경력이 있기 때문에 초전도체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고려제강(002240)

고려제강의 자회사인 KAT에서 핵융합용 초전도 선재 제조 및 판매까지 하는 점이 부각되면서 초전도체 관련주로 주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서남(294630)

서남은 초전도 선재 개발 기업입니다. 발전기 및 모터에 사용되는 고온 초전도 선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극저온 환경 설계 기술, 초 고자장 자석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서남은 초전도체가 시장에 처음 주목받을 때, 가장 먼저 시장에서 반응한 종목으로 최근까지 초전도체 관련주 대장 종목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서남이 대장주로 꼽히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고온 초전도체 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온 초전도체가 상용화되었을 때, 이미 설비 시설을 갖추고 있는 서남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에 대한 기대감이 높기 때문입니다.

에스엘(005850)

에스엘은 엘앤에스 벤처캐피탈의 주식을 10만 주 보유하고 있어 지분율 3.60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에스엘-2023년-3월-분기-보고서-지분-증권-보유-현황

에스엘 2023년 3월 분기 보고서의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항목에서 엘앤에스 벤처캐피탈 지분 보유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모텍(052710)

아모텍은 엘앤에스 벤처캐피탈 지분 2.16%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모텍-2023년-3월-분기-보고서-타법인-출자-현황

2023년 3월 아모텍 분기 보고서의 타법인 출자 현황 상세 내역에서 6만 주의 주식을 3억 원에 취득해서, 지분율 2.16%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전도체 재료 관련주

이외에 상온 상압 초전도체를 구현하는 핵심 재료는 구리와 납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와 관련된 비철금속 관련주도 초전도체 관련주와 묶이면서 시장에서 반응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초전도체 및 비철금속 관련주 종목은 이구산업(025820), 서원(021050), 국일신동(060480), 대창(012800) 종목이 있습니다.

추가로 티플랙스(081150)는 상온 상압 초전도체 원료인 희토류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